우리가 궁금해하지 않았던 것
여자친구가 내 팔뚝을 만져보더니 의외라는 듯 귀엽게 웃었다. 5년차 커플이지만 이제서야 새삼 새롭게 여겨질 정도로 내 근육은 지방에 의해 과잉보호되고 있다. 사실 근육이라기보단 살덩이가 뭉친 셀룰라이트에 가까운 것이지만 으쓱해진 흥을 구태여 깨지는 않았다. 근육이든 지방이든, 28년 살아오며 스키니진 못 입을 때 빼고는 굵은 팔뚝과 장딴지를 부끄러이 여겨본 적이 없었다. 내 팔뚝과 장딴지는 꼭 친탁이다. 다른 곳 쏙 빼두고 팔뚝과 장딴지만 놓고 봐도 나는 부정할 길 없는 울 아버지의 아들이다. 조창인 작가의 <가시고기>엔, 아이를 세상에 남겨놓은 이상 사람은 죽어도 아주 죽는게 아니라더라. 엄마가 내 팔뚝과 장딴지를 보며 살 좀 빼라 타박할 때, 아버지는 남자가 저 정도는 되어야 힘쓴다며 허허거리던 것은 바로 내게서 당신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명체는 본능적으로 혈연에 집착한다. 생과 사에 관한 우리의 가장 근원적인 공포는 세상 그 어디에서도 자신의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는 존재론적 절멸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는 빈곤국 여성까지 구해 매매혼에 가까운 결혼식을 올리고, 누군가는 결혼정보업체에 거금을 쥐어주며 마음에도 없는 선자리를 찾아나선다. 또한 그래서 누군가는 가시고기처럼 자식을 위해 피투성이가 될 때까지 차가운 세상과 투쟁하고, 누군가는 빚더미 속에서도 끝까지 생의지를 부여잡는다. 그 어떤 신이 영원한 구원을 약속하더라도, 또 그 어떤 세상의 발전이 자식타령을 미개한 것으로 치부하더라도, 자신을 꼭 닮은 어린 아이의 첫 울음소리가 세상에 들릴 때만큼은 기쁨을 숨길 수 있는 자가 드물다. 그것은 인류가 그토록 바라온, 그렇지만 그 어떤 종교나 과학발전도 보여주지 못한 "영생의 꿈"이 현시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영웅 울버린에서 인간 로건으로
"우리는 신의 계획이 아니라 신의 실수일지 몰라요."
로건의 한 마디는 영화의 배경을 관통한다. <로건>에서는 울버린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나이들고 다리를 저는 늦중년(그정도면 꽃중년이긴 하다만)의 아다만티움 인간이 등장할 뿐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먼저 떠나보내야만 하는 자신의 불멸이 저주스러워, 항상 자살할 총알을 재킷 주머니 속에 지니고 다니는 늙은 리무진 기사만이 등장한다. 든든한 초능력자 전우나 영리한 과학자도 없다. 정의에 대한 열망도, 불의에 대한 분노도 없다. 본디 인간은 수명의 유한성으로 인해 나이마다 응당 거쳐야할 관문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그런 관문들을 거쳐가며 가정을 이루고 자식을 낳으며 스스로 성장한다. 그리고 이내 기꺼이 죽음을 수용한다. 그러나 죽음을 모르는 살육병기로 근 2백년을 살아온 그에게는 매일 밤 엄습하는 악몽만이 있을 뿐이다. 악몽에서조차 로건은 그저 살인만을 반복하는 살육병기다.
유혈이 낭자한 19금 액션영화에 이런 표현이 적절한지는 모르겠지만, <로건>은 일종의 성장드라마다. 생애가 분노와 외로움만으로 점철된 로건은 러닝타임을 가로지르며 진정한 가장으로 거듭난다. 로라를 추격하는 용병집단을 하나둘 쓰러뜨리는 로건에게서, 우리는 세계평화를 수호하는 슈퍼히어로가 아닌 처절한 아버지의 모습을 본다. 로건의 말대로 그가 지키려했던 사람은 지금껏 살아남지 못했다. 이갈리는 악당들, 혹은 시간의 세례는 로건에게서 소중한 인연들을 앗아갔다. 로건이 타인을 구하는 행위에 신물이 나버린 이유도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자신을 쏙 빼닮은 로라만은 자신이 세상에 남기는 흔적이 될 수 있다고 로건은 확신한다. 마치 아이의 첫 울음소리를 들은 아버지처럼.
"이런 느낌이었구나..."
<로건>을 끝으로 울버린 시리즈는 막을 내린다. 이제금 세상에 자신의 흔적을 남겨두고 생을 마감하는 한 명의 아버지에게, 감독은 슈퍼히어로라는 무지막지한 탈을 다시 씌워주고 싶지 않아한다. 로건은 한 마리 늑대처럼 생애 전반을 붉은 피로 물들였고 스스로는 검은 고독 속에 빠져 살았지만, 한마리의 가시고기처럼 죽는다. 그의 마지막 모습은 광기와 살육이 아닌, 애틋한 부정(父情)으로 각인된다. 비로소 로건은 아다만티움 병기나 울버린이 아닌, 인간 로건이자 아버지 로건으로 태어나고 죽는다. 그리고 로건은, 딸 로라만은 자신처럼 남 뜻대로 사는 실수를 하지 말기를 당부한다. 로라만은 정의니 평화수호니 하는 고달픈 슈퍼히어로가 아닌 한 명의 행복한 인간으로 살기를 바란다. 대중이 요구하는 울버린이라는 굴레가 아닌, 인간 로라로서의 삶을 살기를 바란다.
로건의 무덤에 꽂힌 십자가를 로라가 X자로 눕히는 장면과 동시에 영화는 결말을 맺는다. 부모는 자식에게 있어서 언제나 엑스맨이다. 자식 앞에서라면 그 어느 때나 강하고, 그 어느 때나 유능하며, 그 어느 때나 따스하다. 설령 목전에 죽음이 도사리고 있을지라도 기꺼이 투신한다. 그다지 살가운 아버지도 아니고 그다지 살가운 딸내미도 아니지만, 슈퍼히어로물을 지극히 "인간"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감독의 시도에 나는 무한한 박수갈채를 보낸다.
여자친구가 내 팔뚝을 만져보더니 의외라는 듯 귀엽게 웃었다. 5년차 커플이지만 이제서야 새삼 새롭게 여겨질 정도로 내 근육은 지방에 의해 과잉보호되고 있다. 사실 근육이라기보단 살덩이가 뭉친 셀룰라이트에 가까운 것이지만 으쓱해진 흥을 구태여 깨지는 않았다. 근육이든 지방이든, 28년 살아오며 스키니진 못 입을 때 빼고는 굵은 팔뚝과 장딴지를 부끄러이 여겨본 적이 없었다. 내 팔뚝과 장딴지는 꼭 친탁이다. 다른 곳 쏙 빼두고 팔뚝과 장딴지만 놓고 봐도 나는 부정할 길 없는 울 아버지의 아들이다. 조창인 작가의 <가시고기>엔, 아이를 세상에 남겨놓은 이상 사람은 죽어도 아주 죽는게 아니라더라. 엄마가 내 팔뚝과 장딴지를 보며 살 좀 빼라 타박할 때, 아버지는 남자가 저 정도는 되어야 힘쓴다며 허허거리던 것은 바로 내게서 당신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명체는 본능적으로 혈연에 집착한다. 생과 사에 관한 우리의 가장 근원적인 공포는 세상 그 어디에서도 자신의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는 존재론적 절멸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는 빈곤국 여성까지 구해 매매혼에 가까운 결혼식을 올리고, 누군가는 결혼정보업체에 거금을 쥐어주며 마음에도 없는 선자리를 찾아나선다. 또한 그래서 누군가는 가시고기처럼 자식을 위해 피투성이가 될 때까지 차가운 세상과 투쟁하고, 누군가는 빚더미 속에서도 끝까지 생의지를 부여잡는다. 그 어떤 신이 영원한 구원을 약속하더라도, 또 그 어떤 세상의 발전이 자식타령을 미개한 것으로 치부하더라도, 자신을 꼭 닮은 어린 아이의 첫 울음소리가 세상에 들릴 때만큼은 기쁨을 숨길 수 있는 자가 드물다. 그것은 인류가 그토록 바라온, 그렇지만 그 어떤 종교나 과학발전도 보여주지 못한 "영생의 꿈"이 현시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영웅 울버린에서 인간 로건으로
"우리는 신의 계획이 아니라 신의 실수일지 몰라요."
로건의 한 마디는 영화의 배경을 관통한다. <로건>에서는 울버린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나이들고 다리를 저는 늦중년(그정도면 꽃중년이긴 하다만)의 아다만티움 인간이 등장할 뿐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먼저 떠나보내야만 하는 자신의 불멸이 저주스러워, 항상 자살할 총알을 재킷 주머니 속에 지니고 다니는 늙은 리무진 기사만이 등장한다. 든든한 초능력자 전우나 영리한 과학자도 없다. 정의에 대한 열망도, 불의에 대한 분노도 없다. 본디 인간은 수명의 유한성으로 인해 나이마다 응당 거쳐야할 관문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그런 관문들을 거쳐가며 가정을 이루고 자식을 낳으며 스스로 성장한다. 그리고 이내 기꺼이 죽음을 수용한다. 그러나 죽음을 모르는 살육병기로 근 2백년을 살아온 그에게는 매일 밤 엄습하는 악몽만이 있을 뿐이다. 악몽에서조차 로건은 그저 살인만을 반복하는 살육병기다.
유혈이 낭자한 19금 액션영화에 이런 표현이 적절한지는 모르겠지만, <로건>은 일종의 성장드라마다. 생애가 분노와 외로움만으로 점철된 로건은 러닝타임을 가로지르며 진정한 가장으로 거듭난다. 로라를 추격하는 용병집단을 하나둘 쓰러뜨리는 로건에게서, 우리는 세계평화를 수호하는 슈퍼히어로가 아닌 처절한 아버지의 모습을 본다. 로건의 말대로 그가 지키려했던 사람은 지금껏 살아남지 못했다. 이갈리는 악당들, 혹은 시간의 세례는 로건에게서 소중한 인연들을 앗아갔다. 로건이 타인을 구하는 행위에 신물이 나버린 이유도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자신을 쏙 빼닮은 로라만은 자신이 세상에 남기는 흔적이 될 수 있다고 로건은 확신한다. 마치 아이의 첫 울음소리를 들은 아버지처럼.
"이런 느낌이었구나..."
<로건>을 끝으로 울버린 시리즈는 막을 내린다. 이제금 세상에 자신의 흔적을 남겨두고 생을 마감하는 한 명의 아버지에게, 감독은 슈퍼히어로라는 무지막지한 탈을 다시 씌워주고 싶지 않아한다. 로건은 한 마리 늑대처럼 생애 전반을 붉은 피로 물들였고 스스로는 검은 고독 속에 빠져 살았지만, 한마리의 가시고기처럼 죽는다. 그의 마지막 모습은 광기와 살육이 아닌, 애틋한 부정(父情)으로 각인된다. 비로소 로건은 아다만티움 병기나 울버린이 아닌, 인간 로건이자 아버지 로건으로 태어나고 죽는다. 그리고 로건은, 딸 로라만은 자신처럼 남 뜻대로 사는 실수를 하지 말기를 당부한다. 로라만은 정의니 평화수호니 하는 고달픈 슈퍼히어로가 아닌 한 명의 행복한 인간으로 살기를 바란다. 대중이 요구하는 울버린이라는 굴레가 아닌, 인간 로라로서의 삶을 살기를 바란다.
로건의 무덤에 꽂힌 십자가를 로라가 X자로 눕히는 장면과 동시에 영화는 결말을 맺는다. 부모는 자식에게 있어서 언제나 엑스맨이다. 자식 앞에서라면 그 어느 때나 강하고, 그 어느 때나 유능하며, 그 어느 때나 따스하다. 설령 목전에 죽음이 도사리고 있을지라도 기꺼이 투신한다. 그다지 살가운 아버지도 아니고 그다지 살가운 딸내미도 아니지만, 슈퍼히어로물을 지극히 "인간"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감독의 시도에 나는 무한한 박수갈채를 보낸다.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카모메 식당>을 보고 : 시나몬향 위로 이야기 (3) | 2016.11.05 |
---|---|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을 보고 (10) | 2016.08.14 |
영화 <다크나이트>를 보고 : 아메리칸 히로이즘에 대한 성찰 (4) | 2015.09.08 |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를 보고 : 인간 예수와 그를 사랑한 유다 (0) | 2015.08.13 |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보고 : 신권력은 어떻게 구권력을 대체하는가? (4) | 2015.06.25 |